oh-my-zsh Can't update: not a git repository 에러 해결 oh-my-zsh 안에 .git 이 삭제 되어 생기는 문제이다. oh-my-zsh 폴더를 날리고 다시 클론하면 해결된다. rm -rf "$ZSH" git clone --depth=1 https://github.com/ohmyzsh/ohmyzsh.git "$ZSH" 그리고 source ./zshrc 하면 에러가 뜰 경우가 있는데 이는 기존에 설치했던 플러그인도 같이 삭제가 되어서 그렇다. 플러그인을 다시 설치해주면 된다. Develop/MAC 2023.02.06
CSS - media 쿼리 반응형 웹 구현을 위해 필수로 알아야 할 media 쿼리 screen 사이즈별로 조건을 걸어 원하는 스타일을 지정 할 수 있다. @media 미디어타입 and 조건 { 조건에 부합 할 경우 결과 스타일 } 미디어타입 screen - 브라우저 화면 조건 속성 ( 자주 사용하는 것 ) min-width 이 최소 넓이 이상이면 max-width 이 최대 넓이 이하이면 min-height 이 최소 높이 이상이면 max-height 이 최소 높이 이하이면 orientation portrait , landscape 감지 color 기기의 색상당 비트 수 color-index 출력 기기의 색상 테이블 수 aspect-ratio 디스플레이 영역의 넓이와 높이의 비율 max-width: 1900px 와이드pc max-w.. Develop/CSS 2022.09.22
CSS - calc() calc 함수는 css에서 단순 사칙연산을 하여 속성에 값을 줄 때 사용된다. 오늘 공부한 내용에서는 화면에서 불필요한 공백을 제거 할 때 사용한다고 배웠다. 예를들면 텍스트 박스와 전송버튼이 있고 텍스트 박스는 전체 화면의 80퍼센트, 텍스트 박스는 100px이라고 했을 때 20%의 100px을 뺀 나머지 불필요한 여백이 생기게 된다. ( 화면을 늘렸을 때 ) 이 불필요한 여백을 제거하려면 100% - 100px 을 텍스트박스 크기로 주면 된다. 전송 calc() 부분을 80% 일때와 100% -100px 일 때 비교를 해보면 이해하기 쉽다. Develop/CSS 2022.09.22
CSS - viewport vw vh vmin vmax CSS의 vw, vh, vmin, vmax 속성은 viewport를 기준으로 화면크기에 반응해서 텍스트 크기를 조정할 때 사용한다. font-size : 1vw; 뷰포트 너비의 1% font-size : 1vh; 뷰포트 높이 1% font-size : 1vmin; 뷰포트 높이와 넓이 중 작은 쪽의 1% font-size : 1vmax; 뷰포트 높이와 넓이 중 큰 쪽의 1% 위의 속성을 추가해서 직접 테스트 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. Develop/CSS 2022.09.21
CSS - em, rem em, rem은 박스 및 텍스트 크기를 조정할 때 사용한다. em은 부모 요소의 크기를 반영하고 em은 부모 요소의 크기를 반영하지만 내,외부의 여백을 정할 때에는 자기 자신의 글자 크기를 기준으로 한다. rem은 루트(html) 요소 크기를 반영한다. 이 때, 루트 요소의 기본 폰트 사이즈는 16px이다. * em, rem은 상위 요소들의 크기에 맞추어 변하는 것이지 주변 환경(기기별 화면 크기)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는 가변성은 없음 (반응형이 아님) 강아지 위의 예시에서 outer(부모) 클래스 안에 inner(자식) 이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. inner클래스를 보면 font-size 가 1rem 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기본 html 의 16px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. padding 과.. Develop/CSS 2022.09.21
React Js - 콘솔 로그 두번 찍히는 현상 해결 방법 React 에서 useEffect 써서 한번만 실행하게 했는데 자꾸 콘솔에 두번씩 로그가 찍혀서 뭐 잘못한건가.. 30분을 삽질했는데 역시 검색이 최고입니다. index.js 에서 부분을 삭제해주시면 해결됩니다. Develop/React JS 2022.09.06
백준 코딩테스트 1715 자바스크립트 node.js 진짜 제일 어려운 문제였다 문제 자체는 쉬운데 구현하는게 너무 어려웠던 것 같다. 정답을 보고 이해하는데도 엄청나게 오랜 시간이 걸렸다. 이 공부를 계속 하는게 맞나 싶을 정도로.. 이 문제는 제일 작은 수 두개를 더해서 배열에 계속 쌓고 또 제일 작은 두 수를 더해서 배열에 쌓고 하는 방식으로 푼다. 이걸 생코딩으로 풀어버리면 시간초과로 오답처리가 된다. 그래서 최소힙 이라는 알고리즘으로 풀어야 한다. 문과인 나에게는 처음들어보는 멍멍이 소리였다. 아래 블로그를 보았고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. 아래 블로그에서 개념을 잡고 넘어가시길 강력히 추천드린다. https://reakwon.tistory.com/42 [자료구조] 그림으로 쉽게 보는 힙(Heap) 개념과 코드 힙(Heap) 개념 힙이라는 자료.. Develop/백준 코딩테스트 2022.07.29
백준 코딩테스트 1946 신입 사원 자바스크립트 node.js 정답 let input= require('fs').readFileSync('/dev/stdin').toString().trim().split('\n'); for(let i=1; i i.split(' ').map(i => +i)); sol(arr); i += section + 1; } function sol(arr){ arr = arr.sort((a,b) => a[0]-b[0]); let result = 1; let minScore = arr[0][1]; for(let i=1; i < arr.length; i++){ if(minSc.. Develop/백준 코딩테스트 2022.07.12
자바스크립트 - slice slice(start,end) 배열을 잘라서 새로운 배열을 만든다. 원본 배열은 바뀌지 않는다. start : 양수일 경우 > 가장 왼쪽부터 0으로 시작하면서 카운트 음수일 경우 > 가장 오른쪽부터 1로 시작하면서 카운트 end : end는 포함 시키지 않고 배열을 반환 ( end-1 까지 반환 ) 음수일 경우 > 가장 오른쪽부터 1로 시작하면서 카운트 const animals = ['ant', 'bison', 'camel', 'duck', 'elephant']; console.log(animals.slice(2)); //>> ["camel", "duck", "elephant"] console.log(animals.slice(2, 4)); //>> ["camel", "duck"] console.log(a.. Develop/JavaScript 2022.07.11
자바스크립트 - join join은 배열을 String으로 합칠 때 사용된다. 기본은 콤마 ',' 로 합쳐주고 원하는 문자를 넣어서 합칠 수 있다. const elements = ['Fire', 'Air', 'Water']; console.log(elements.join()); //>> "Fire,Air,Water" console.log(elements.join('')); //>> "FireAirWater" console.log(elements.join('-')); //>> "Fire-Air-Water" Develop/JavaScript 2022.07.11